러시아는 2014년과 2015년의 민스크 협정이 우크라이나와 서방의 기만이었으며, 휴전은 단지 우크라이나의 재무장을 위한 시간 벌기였다고 인식하고 있다. 푸틴은 2022년 터키 협상에서 우크라이나 측의 휴전 제안을 수용했으나, 서방의 압력으로 젤렌스키가 이를 철회하면서 러시아의 불신이 더욱 깊어졌다. 이제 러시아는 과거의 경험을 근거로 휴전 제안을 신뢰하지 않으며, 푸틴이 제시한 조건을 우크라이나가 수용하지 않으면 전장에서 더 강력한 조건을 강요할 방침이다.
자히 잘루아는 파시즘을 인종화된 피해자들의 관점에서 분석하며, 이스라엘의 시오니즘을 파시즘의 일환으로 규정하고 가자지구에서 벌어지는 집단학살을 그 증거로 제시한다. 미국 자유주의 정치와 미디어는 BDS와 CRT를 억압하며, 구조적 인종주의와 제국주의에 공모하고 있음을 비판한다. 그는 파시즘의 뿌리를 식민주의와 반흑인주의에서 찾으며, 반파시즘 투쟁은 진정한 반식민주의적, 해방 지향의 보편 정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중일 외교장관은 한반도 평화가 공동의 책임임을 확인하고, 역내 협력 강화에 합의했다. 러시아-북한 군사 협력과 미국의 무역 관세, 북핵 위협 등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서 대화와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세 나라는 경제, 기후, 고령화 문제까지 논의하며 실용적 외교와 차기 정상회담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은 1950년대 초 소련식 노동보험 제도를 도입했지만, 행정력 부족, 정치운동, 국제정세 변화 등으로 인해 점차 기업 내부 복지로 축소되었다. 이 제도는 초기엔 정치적 정당성과 산업화 지원을 위한 수단으로 기능했으며, 문화대혁명 등을 거치며 정치화되고 실질적 사회보험 기능을 상실했다. 결국 노동보험은 사회보험적 성격을 잃고 기업별 자체 복지로 해체되었고, 이는 당시 주변부 국가들이 겪은 보편적 제도 도입의 한계를 보여준다.
필리핀 전 대통령 로드리고 두테르테는 재임 중 마약과의 전쟁을 명분으로 2만7천여 명을 초법적으로 살해한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ICC)에 넘겨졌다. 미국은 이 기간 동안 필리핀 경찰과 군대에 수억 달러의 군사·치안 지원을 제공하며 두테르테 정권의 인권 탄압을 묵인했다. 두테르테의 후임 마르코스 정부 역시 미국의 안보 동맹국으로서 군사 원조를 계속 수령 중이며, 인권 탄압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레바논 감독 헤이니 스루르의 두 작품, <해방의 시간이 도래했다>와 <레일라와 늑대들>이 50년 만에 복원돼 미국 전역에서 상영되며, 여성 해방과 반제국주의 연대의 메시지를 다시금 조명받고 있다. 스루르는 1969년 오만의 해방 운동에 참여해 여성과 남성의 평등 훈련을 목격하고 이를 기록했지만, 여성주의 시선을 담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회고한다. 레일라와 늑대들은 팔레스타인 연대와 여성의 저항사를 중심에 둔 평화의 다리로, 그녀는 오늘날의 정치적 긴장 속에서도 이 영화를 유대인 커뮤니티와 공유하고 진정한 평화를 위한 대화를 희망한다.
팔란티어 CEO 알렉스 카프는 AI 기반 전쟁기술 개발을 미국의 새로운 국가정체성과 글로벌 우위 확보 수단으로 제시하며, 정부와 민간의 ‘신형 맨해튼 프로젝트’를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기술 맹신, 군산복합체 이익, 시민 통제 약화로 이어지며, 민간을 살리는 원조·공공의료·기후 대응 등 비군사적 위기 해결을 외면하는 위험한 전환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카프와 머스크, 실리콘밸리 군사주의자들의 영향력은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정점에 이르렀고, 이들이 주도하는 AI 무기화와 군사 중심 질서 재편은 미국의 ‘목적’을 왜곡시키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경제 지원을 중단하면서, 우크라이나는 생산력 부족, 막대한 재정·무역 적자라는 삼중고 속에서 내부 자원 동원을 통한 장기전 대비책이 시급해졌다. 전문가들은 세금 인상, 소비 억제, 금융 억제 정책, 국채 판매 확대, 자산 압류 등을 제시하며, 전쟁경제로의 본격 전환을 통해 외부 원조 없이도 전쟁을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다. 유럽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해야 할 이유는 안보 비용 절감, 난민 유입 억제, 유럽 자체 안정성 확보라는 경제적·지정학적 측면에서 매우 분명하며, 지금의 투자가 미래의 재앙을 막는 가장 효율적 수단이라는 점이 강조된다.
미국 엑스랩스(Exlabs)와 안타레스 누클리어(Antares Nuclear)는 2028~2029년 원자력 추진 우주선 SERV를 정지궤도에 발사해 소형 원자로의 실전 운용 가능성을 입증할 계획이다. SERV는 5,000kg(11,000파운드) 이상의 화물 수송이 가능한 자율형 우주선으로, 태양광보다 강력하고 안정적인 전력을 제공하는 소형 원자로(마이크로리액터)를 탑재한다. 최근 미 우주군과 영국 롤스로이스 등도 우주 원자로 개발에 투자하며, 국가 안보·장기 임무용 우주 인프라로서 핵 기술의 실용화가 본격화되고 있다.
최근 한국과 폴란드에서 전술핵무기 배치를 통한 자국 안보 강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냉전 시기의 확장 억제 논리를 되살리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술핵은 운용 교리도 모호하고, 실제 사용 가능성도 낮으며, 오히려 재래식 전력과 예산 경쟁을 일으키는 부담으로 평가돼 왔다. 냉전 종식 이후 폐기 수순을 밟은 전술핵을 다시 확산시키는 것은 핵 참사의 가능성을 다시 불러오는 위험한 퇴행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